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스냅챗
- 밀레니얼 세대
- 디지털 영수증
- 플루투스 탭 & 페이
- 블록체인
- 모네스 은행 앱
- 몬조 (Monzo) 은행
- BitcoinETI
- 모바일 결제 앱
- MEMS
- 사물인터넷
- CES
- record of ownership of assets
- 가상 현실
- 증강 현실
- 페이팔
- 디지털 월렛
- 메신저
- 비트코인
- 아마존 결제
- 시냅스페이
- 모바일 월렛
- 핀테크
- 벤모
- 트위터
- 베를린 영화제
- 스타트업
- 인공 지능
- 핀테크 스타트업
- 이더리움
- Today
- Total
커피 트윗
코인의 문자 (SMS) 송금 본문
널티엑스의 웹 사이트 (nulltx [dot] com)에서 “6 Mobile Bitcoin Wallets You don’t want to miss in 2018”을 옮겼습니다. 원문은 8월 9일에 게재되었습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지난 18개월동안 암호화폐 분야에 들어왔습니다. 그 결과 적당한 모바일 비트코인 월렛/지갑을 찾으려는 시도는 꽤 오랫동안 계속되어 왔습니다. 몇몇 괜찮은 월렛이 있고, 과거에 영향력을 끼쳤던 회사들이 계속 별 문제없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다음의 월렛은 알파벳 순서로 소개됩니다.
여섯번째, 블록체인 (“6. Blockchain”): 블록체인 닷 컴 (Blockchain [dot] com, 이전에는 Blockchain [dot] info)에 의하여 만들어진 이 월렛은, 모바일 기기에 관심있는 암호화폐 사용자라면 추천할만한 솔루션입니다. 이 월렛은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비트코인 캐시 그리고 이더리움도 지원합니다. 블록체인은 세계적으로 천 오백만 (15 million)명 이상의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분기마다 전반적인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다섯번째, 브레드 (“5. Bread”): 애플 운영 체계 (iOS)의 사용자들은 첫날부터 ‘브레드 (Bread)’로 몰려들었습니다. 브레드는, 애플 운영 체계의 플랫폼에 최초로 등장한 비트코인 월렛/지갑이었고, 아직까지도 애플 사용자들 사이에서 인기있는 비트코인 월렛 중 하나입니다. 브레드는 현재 비트코인만 지원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암호화폐들을 통합할 계획은 없다고 합니다.
네번째, 코이노미 (“4. Coinomi”): 다양한 암호화폐를 지원하는 점에 있어서는, 모바일 생태계에서 ‘코이노미 (Coinomi)’를 꺾을 경쟁자가 없습니다: 이 월렛은 비트코인, 대시, 이더리움, 디지바이트 (Digibyte), 그리고 수십개의 다른 토큰들과 자산 그리고 통화/화폐들을 지원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코이노미는 안드로이드 사용자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있는 솔루션인데, 지원하는 다양한 통화/화폐때문에 이러한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세번째, 에지 (“3. Edge”): 이전에는 “에어비츠 (Airbitz)”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월렛으로, 현재 ‘에지 (Edge)’라고 불리고 있는 이 월렛은 중앙화된 인프라에 의존하지 않고도 모바일 월렛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에지는 현재 비트코인 캐시,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그리고 모네로 등을 포함하는 열 두서너개 정ㄷ의 코인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멀티-커런시’ 지원 (“multi-currency support”)은 암호화폐 분야에서 마땅히 나아가야 할 경향임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두번째, 일렉트럼 (“2. Electrum”): 비트코인을 1년 이상 사용했던 사람이라면 ‘일렉트럼 월렛 (Electrum wallet)’에 대하여 알고 있을 것입니다. 데스크탑 버전도 있으므로 모바일 전용은 아닙니다만. 이 간편한 비트코인 월렛/지갑은, 블록체인 싱크로나이제이션 절차 (blockchain synchronization process)라는 긴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비트코인/BTC을 보관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그린애드레스 (“1. GreenAddress”): 모바일 용 비트코인 월렛 가운데 약간 오래된 것으로 ‘그린애드레스 (GreenAddress)’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보관만이 가능하며, 사용자들의 보안을 위해서 ‘내장된 2차 인증 (built-in two-factor authentication)’이 추가적으로 제공됩니다. 편의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그린애드레스는 – 멋으로 덧붙이는 부가적인 기능없이 – 모든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널티엑스의 웹 사이트 (nulltx [dot] com)에서 “4 Hot ways to send crypto via SMS in 2018”를 옮겼습니다. 원문은 8월 10일에 게재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을 사용하기에 더 편리하도록 하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다양한 회사들과 서비스들이 비트코인을 문자 (“text messages”)로 보내는 새로운 방법을 도입해왔었습니다. 흔히 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지만, 다음의 회사들은 – 알파벳 순서로 소개됩니다 – 이 새로운 분야에서 그들의 방식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네번째, 블록체인 (“4. Blockchain”): 블록체인 지갑/월렛은, 데스크탑과 모바일 기기 양쪽에서 매우 성공적입니다. 이전의 이름은 ‘블록체인. 인포 (Blockchain [dot] info)’였으며, 블록체인은 사용자들에게 그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 가운데에는 비트코인을 문자 메시지로 송금하는 기능도 포함되는데, 몇 년 전에 설치된 것입니다. 이 기능은 어떤 한 사람의 데스크탑이나 혹은 블록체인의 모바일 웹 버전 (“from one’s desktop or the mobile web version of Blockchain”)에서만 접근가능합니다. 메뉴에는 “메시지 보냄 (send message)”이라는 선택 사항이 있는데, 사용자는 모바일 폰의 번호를 입력한 뒤 송금하고 싶은만큼의 비트코인의 양을 결정합니다. 이론적으로는 매우 간단한 방법인데, 암호화폐를 송금하는 다른 방식들에 결부된 마찰없이, 전 세계적으로 비트코인을 사람들에 보낼 수 있는 쉬운 방법입니다.
세번째, 코인어풀트 (“3. Coinapult”): 코인어풀트는 이전에 ‘문자 (SMS)’를 통하여 비트코인을 보내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사용자들은 먼저 그들의 계정 설치 부분에서 자신의 전화번호를 추가해야 합니다. 회사에 의하여 제공되는 웹과 SMS 인터페이스는 아무 문제없이 이용될 수 있습니다: 회사가 영국과 캐나다 모두에서 전화 번호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두번째, 코인텍스트 (“2. CoinText”): 코인텍스트는 아마 SMS를 통하여 암호화폐를 보내는 가장 흥미로운 방법일 것입니다. 비트코인은 지원하지 않으며, 비트코인 캐시만 지원합니다. 사용자들은 코인텍스트 액세스 넘버 (CoinText access number)를 문자로 보냄으로써 새로운 비트코인 캐시 월렛을 설치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새로운 월렛/지갑의 주소에 자금을 추가합니다. 일단 설치가 완료되고 나며, 비트코인 캐시의 잔액은 전 세계의 어떤 전화번호로든 보내어질 수 있습니다 (“Bitcoin Cash balances can be sent to any phone number in the world”). 자금을 받는 사람은 추가적인 응용/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고도 그들의 BCH 잔액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매우 편리하고 간단한 방법이며, 비트코인을 지원하면 괜찮을텐데 말입니다. 어쨌든, 암호화폐에 연결된 텍스트/문자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쉽게 설치될 수 있음을 잘 보여주는 경우입니다.
첫번째, 사무라이 월렛의 포니다이렉트 (“1. Samurai Wallet’s PonyDirect”): 개인정보 보호에 초점을 맞춘 이 비트코인 지갑/월렛 서비스에는 몇몇 기능이 있습니다. 사람들이 기대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 월렛은 ‘문자 (text messages)’를 통하여 돈을 보내는 선택 사항이 있습니다. 이 기능은 올해 초에 도입되었으며, ‘포니다이렉트 (PonyDirect)’ 브랜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응용/애플리케이션은 회사 내부에서 개발되었으며, 기본적으로 모바일 연결이 뒤처진 세계의 지역에 영향을 끼치려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코인 및 토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코인의 시세 (0) | 2018.12.08 |
---|---|
모나, 비트와이즈 소식 (0) | 2018.10.13 |
N26 소식 등 (0) | 2018.09.19 |
아토믹 스왑의 잠재력 (0) | 2018.09.17 |
2018년의 기대되는 코인들 (0) | 2018.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