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몬조 (Monzo) 은행
- 모네스 은행 앱
- 시냅스페이
- BitcoinETI
- 트위터
- 아마존 결제
- 가상 현실
- 베를린 영화제
- 블록체인
- 디지털 월렛
- 페이팔
- 스냅챗
- 핀테크 스타트업
- 모바일 월렛
- 메신저
- 모바일 결제 앱
- 스타트업
- 증강 현실
- CES
- 벤모
- 사물인터넷
- 이더리움
- 플루투스 탭 & 페이
- record of ownership of assets
- 디지털 영수증
- 핀테크
- 밀레니얼 세대
- 인공 지능
- 비트코인
- MEMS
- Today
- Total
목록메신저 (2)
커피 트윗
미디엄에 실린 글, "These Products Gave Us New Ways to Connect in 2015"을 옮겨보았습니다. 메신저와 페리스코프도 이 글에서 다루고 있어서, 저는 개인적으로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정말 여기에서 말하는 것처럼 '페이스북과 트위터와 인스타그램은 유행에서 약간 지난' 그런 것인가요? (제가 지난 1월 25일 '시냅스 페이'라는 글을 번역하여 이 블로그에 올렸는데, 그 뒷 부분에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보다, 왓츠앱이나 페북 메신저, 위챗 등의 메신저가 사용자도 더 많고, 수익성도 더 높다'라고 한 부분이 있더군요. 그러고 보면, 요즘 소셜 플랫폼의 경향이 메신저가 대세인 듯 합니다). ******** 지난 몇 년동안 우리가 좋아했던 친숙한 소셜 플랫폼 (soc..
비트코인 거래소인 크라켄 회사에 대해 글을 (바로 앞의 글입니다) 올리면서, 잠시 의아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요즘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하는 등, 들리는 소식이 좋지 못한데, '이런 시기에 크라켄은 비트코인 거래소를 두 개나 사들이다니'라고 생각했습니다. 블록체인에 대해선 낙관적인 견해가 있는데, 비트코인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비관적인 견해가 많으니까요. 앞의 글에서 크라켄 사에 대한 소식을 전하면서, 미국 국내의 결제 회사로, 크라켄 사가 시냅스페이를 파트너로 정한 것이 생각나서, 트위터에서 검색해 보았습니다. 시냅스페이의 트위터 계정은 synapsepay입니다 (아래 사진의 트윗 참조) 위의 트윗을 보니, 시냅스페이 회사에 기쁜 소식이 있는데, 미국의 '연방예금 보험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