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증강 현실
- 밀레니얼 세대
- 모네스 은행 앱
- 스타트업
- CES
- 비트코인
- 트위터
- 디지털 영수증
- 가상 현실
- 메신저
- 몬조 (Monzo) 은행
- 베를린 영화제
- 사물인터넷
- MEMS
- 벤모
- 이더리움
- BitcoinETI
- 스냅챗
- 페이팔
- 플루투스 탭 & 페이
- 핀테크
- 핀테크 스타트업
- 시냅스페이
- record of ownership of assets
- 블록체인
- 모바일 월렛
- 아마존 결제
- 모바일 결제 앱
- 인공 지능
- 디지털 월렛
- Today
- Total
목록IT & 비지니스 (422)
커피 트윗
블룸버그 테크놀로지 (트위터 아이디는 "technology")의 1월 17일 트윗에 따르면, 어제 비트코인의 가격이 급락하여 매도 (selloff)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이것은 과잉반응 ("overreaction")이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의견을 내놓은 사람은 비트페이 (BitPay)의 싱 (S. Singh)씨로써, 비트페이의 상업 부문 의장 (chief commercial officer)이라고 합니다. (*** 앞으로의 암호화폐 시장이 어떻게 전개될지, 어제의 비트코인 매도/매각 반응이 과잉 반응인지 아닌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다만, '비트페이의 싱 의장은 이 현상을 "과잉반응"으로 보는구나' 라고 기사를 인용하는 정도로 블로그에 올려 정리해둡니다). 같은 트윗의 동영상에서 한 컷 가져왔습니다..
어제 게시글에서 "그레이스케일 (Grayscale)" 회사가 '이더리움 클래식 인베스트먼트 트러스트'를 준비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레이스케일 회사에서 이러한 "이클 트러스트"를 위한 트위터 계정까지 마련한 것을 보고, 이클에 대해서 좀 찾아보다가, 2017년 11월 23일 실버트 (B. Silbert)씨의 트윗을 올립니다. 실버트씨는 '디지털 커런시 그룹 (Digital Currency Group)'의 창립자이자 최고 경영자인데, 디지털 커런시 그룹이 그레이스케일 회사의 모회사입니다. 실버트씨는 작년 11월의 트윗에서 호스킨슨씨가 이더리움 (ETH)과 이더리움 클래식 (ETC)의 차이점을 잘 설명하고 있다며 호스킨슨씨의 인터뷰를 권하며 트윗에 올렸습니다. 다음이 실버트씨의 트위터 홈 페이지입니다. 그..
디지털 화폐/통화 투자 회사인 그레이스케일 (Grayscale) 회사에서 일하는 소넌샤인 (M. Sonnenshein)씨의 1월 13일 트윗입니다: 자신이 씨엔비씨 (CNBC) 방송의 '클로징벨 (Closing Bell)' 프로그램에 나왔다고 트위터에 올렸는데요, '비트코인 인베스트먼트 트러스트 (GBTC)'를 파는 입장임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상품이 위험이 없다곤 할 수는 없다 ("Bitcoin doesn't come without risks")"라고 솔직한 견해를 밝혔습니다. 그럼에도, 비트코인 상품의 미래는 밝다고 의견을 개진했고, 게다가 '이더리움 클래식 인베스트먼트 트러스트 (Ethereum Classic Investment Trust)'까지 언급하며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그레이스케일의 소넌..
2018년 미국에서 열린 CES 행사를 보고, 임정욱님께서 느끼신 소감을 표현하신 것 (한국 시간으로 1월 13일 트윗입니다) 같은데, "한국이 설 곳은 어디인가..."란 부분을 아마 다른 많은 사람들도 공감하며 고민할 것 같습니다. 1월 12일의 가격 지수에 따라 코인텔레그래프가 알려주는 코인의 시세입니다: 모든 가격은 미국 달러 (USD)로 표시됩니다. 비트코인은 13,859.98 달러 ($13,859.98), 이더리움은 1,214.28 달러 ($1,214.28), 그리고 비트코인 캐시 (BCH)는 2,546.08 달러 ($2,546.08)였습니다. *** 사진/카메라로 유명한 코닥 회사가 암호 화폐를 출시함으로써 과거의 영광을 되찾으려 한다는 소식에, "CBInsights"라는 계정이 '초기 코인 ..
코인데스크의 (한국 시간으로) 1월 11일 트윗입니다: 중국의 비트메인 회사가 스위스로 사업을 확장한다고 합니다. 스위스의 주크 (Zug) 지역에 "비트메인 스위스 (Bitmain Switzerland)"라는 자회사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중국의 회사들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세계로 사업을 확장하는 것 같습니다. (*** 이것과 똑같은 내용은 아니지만, 중국의 후오비 회사도 일본의 SBI 그룹과 파트너십을 맺은 것이 떠오릅니다. 이러한 파트너십을 중국 정부의 규제를 벗어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도 볼 수 있지만, 다른 한편 중국의 회사가 암호 화폐 사업을 세계적으로 확장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혹시 궁금하신 분들께서는, 이 블로그의 2017년 12월 9일 게시글인 "후오비와 SBI 그룹의 거래소..
파이낸스 마그네이츠 (Finance Magnates)의 1월 9일 트윗입니다: 비트코인 아톰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데요, 아토믹 스왑도 주제로 등장하는 등 내용이 흥미롭습니다 (*** 완역한 것이 아니며 일부분만 옮겼음을 밝힙니다). 암호 화폐 분야에서는 해킹이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어왔고, 해킹의 대부분이 암호 화폐 거래소에 대한 해커들의 공격에서 일어났습니다. 암호 화폐 자체의 성격은 '탈중앙화된 무신뢰의 화폐/통화 (decentralized, trustless monies)'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를 다루는 거래소는 중앙화된 성격을 띕니다. 거래소들은 사용자가 등록할 때부터 여러가지 개인적인 정보를 요구하고, 해커들이 거래소를 공격했을 경우, 사용자들은 보유하고 있던 코인뿐만 아니라 종종 개인 정보마..
2018년 1월 9일에서 12일까지 미국의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소비자 전자제품 박람회 (Consumer Electronics Show (CES))'에 임정욱님께서 가셔서 벌써 사진을 트위터에 올리고 있습니다. 임정욱님은, 평소에도 스타트업 소식 및 새로운 테크 동향 등을 트위터에 올리셔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계시죠. 다음의 트윗은, 라스베가스에서 임정욱님이 스타트업 회사인 네오펙트의 이 박사님과 CES에서 만나서 사진을 찍은 것을 올려주셨네요. 다음은 트위터의 임정욱님 계정입니다: 아이디는 "estima7"이구요, 스타트업 및 실리콘 밸리 동향 등 최신 동향도 알려주시고, 다양한 측면에서 도움이 많이 되는 계정입니다. 다음은 CES 공식 계정이 '벤지락 (benjilock)'을 소개하고 있는 1월..
코인텔레그래프의 1월 5일 트윗입니다. 트론 (TRON (TRX)) 코인이 새 해인 2018년에 최상위 10위권으로 진입한 것을 기사로 다루고 있습니다. 트론은 지난 해 12월 중순부터 2,000 퍼센트 이상 상승 ("The altcoin has been on a bullish trend since mid-December, growing well over 2,000 percent since then")하며 기세를 올렸습니다. 그리고, 2018년 첫 주에만 300 퍼센트 성장했습니다. 트론은 연예/문화 산업 분야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프로토콜 ("TRON markets itself as a Blockchain-based protocol for the entertainment industry")로써, 이 ..
지난 2017년을 잘 정리한 차트/테이블이 있어서 올려봅니다. (저로서는 처음 보는) 크립트fx 계정이 올렸는데, 트윗이 너무 길어서 날짜 부분이 잘렸습니다 - 다음의 트윗은 1월 1일에 올려진 것입니다. 위의 트윗에서 차트만 확대했습니다. '크립토시스 (Cryptosis)'라는 영국의 웹 사이트에서 정리한 테이블이구요, 최상위 10개의 코인의 2017년 1월 1일의 가격과 같은 해 12월 31일의 가격을 비교함으로써, 가격 상승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정말 이렇게 보니, 놀랍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2017년의 가격 변동이 미래에 똑같이 일어날 것이라는 보장은 없으니 (지난 해가 어떠했는지 정리한다는 뜻에서 참고만 하시기를 바라며), 만약 투자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다음의 차트에 의존하여 투자..
어제 (한국 날짜로) 1월 3일의 트윗입니다: 이더리움의 가격이 처음으로 900 달러를 넘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이더리움 가격이 상승하는 가운데, 특히 아시아의 세 거래소가 이더리움의 거래량이 많았다고 합니다. 코인텔레그래프의 보도에 의하면, 싱가폴에 있는 코인베네가 거래량이 가장 많았는데, (코인텔레그래프의 기사가 쓰여질 시간의) 24 시간 거래량이 육억 달러 ($600 mln)에 달했으며, 이것은 거의 이더리움 거래량의 11 퍼센트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At press time, Singpore-based exchange Coinbene was in the lead, boasting 24-hour trading volumes of $600 mln, almost 11 percent of over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