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EMS
- 스냅챗
- 모바일 월렛
- 트위터
- 벤모
- BitcoinETI
- 디지털 월렛
- 사물인터넷
- 몬조 (Monzo) 은행
- 인공 지능
- 가상 현실
- 플루투스 탭 & 페이
- 아마존 결제
- 스타트업
- 블록체인
- 비트코인
- 모네스 은행 앱
- 베를린 영화제
- 시냅스페이
- CES
- 모바일 결제 앱
- 메신저
- 페이팔
- 핀테크
- record of ownership of assets
- 증강 현실
- 디지털 영수증
- 핀테크 스타트업
- 밀레니얼 세대
- 이더리움
- Today
- Total
커피 트윗
무비패스 (MoviePass) 소식 본문
2017년 8월 24일 - 27일: 이더리움 (ETH) 시세는 모두 미국 달러 (USD)로 표시됩니다.
24일 한국 시간 오후 5시 (GMT+9): 비엔씨 마켓에 따른 이더리움의 시세는 321.49 달러 ($321.49), 이더리움 가격 봇에 따른 시세는 319.86 달러 ($319.86), 그리고 역시 같은 시각 월드코인 인덱스에 따른 이더리움의 시세는 320.37 달러 ($320.37)였습니다. // 특정 시각이 아닌 24일 하루의 가격 지수에 따라 코인텔레그래프가 알려주는 이더리움의 가격은 319.44 달러 ($319.44)였습니다.
25일 한국 시간 오후 5시 (GMT+9): 크라켄 거래소에 따른 이더리움의 시세는 334.50 달러 ($334.50), 코인스탯에 따른 이더리움의 가격은 334.57 달러 ($334.57), 그리고 역시 같은 시각 비엔씨 마켓에 따른 이더리움의 시세는 334.60 달러 ($334.60), 월드코인 인덱스에 따른 이더리움의 시세는 333.95 달러 ($333.95), 이더리움 가격 봇에 따른 시세는 332.68 달러 ($332.68)였습니다 // 특정 시각이 아닌, 25일 하루 전체의 가격 지수에 따라 코인텔레그래프가 알려주는 이더리움의 시세는 331.65 달러 ($331.65)였습니다.
26일 한국 시간 오후 5시 (GMT+9): 크라켄 거래소에 따른 이더리움의 시세는 332.00 달러 ($332.00), 코인스탯에 따른 이더리움의 시세는 331.58 달러 ($331.58), 월드코인 인덱스에 따른 이더리움의 시세는 331.12 달러 ($331.12), 그리고 이더리움 가격 봇에 따른 시세는 330.83 달러 ($330.83), 그리고 역시 같은 시각 비엔씨 마켓에 따른 이더리움의 시세는 332.04 달러 ($332.04)였습니다 // 특정 시각이 아닌, 26일 하루의 가격 지수에 따라 코인텔레그래프가 알려주는 이더리움의 시세는 330.42 달러 ($330.42)였습니다.
27일 한국 시간 오후 5시 (GMT+9) 월드코인 인덱스에 따른 이더리움의 시세는 333.03 달러 ($333.03), 그리고 비엔씨 마켓에 따른 이더리움의 시세는 336.17 달러 ($336.17)였습니다 (*** 월드코인 인덱스의 트윗에 함께 나와있어서 (궁금해서) 흘낏 보니, 대시 (DASH) 가격이 376 달러, 그리고 모네로 (XMR) 가격이 142 달러 등 시세가 꽤 높습니다).
27일 같은 시각, 코인스탯에 따른 이더리움의 시세는 336.05 달러 ($336.05)입니다 // 특정 시각이 아닌 27일 하루의 가격 지수에 따라 코인텔레그래프가 알려주는 이더리움의 시세는 333.85 달러 ($333.85)였습니다.
27일 역시 같은 시각, GDAX 거래소의 시세를 반영하는 '이더리움 가격 봇 (ETHPriceBot)'에 따른 시세는 334.62 달러 ($334.62)였습니다.
***
토요일 26일의 게시글인 'BPI 차트'에 모네로의 시세를 조금 올렸는데, 오늘도 궁금해서 찾아보았습니다. (*** 사진으로 올리지는 않았지만, 코인스탯에 따르면 28일 오늘 한국 시간 아침 7시 (GMT+9) 130.13 달러 ($130.13)이고 순위는 9위, 그리고 세 시간 뒤인 아침 10시 코인스탯에 따른 모네로는 순위는 10위, 그리고 가격은 129.50 달러 ($129.50)였습니다). 그러다, 두 시간 뒤의 상황인데, 28일 한국 시간 정오 12시 (GMT+9) 크라켄 거래소에 따른 모네로 (XMR)의 시세는 143.99 달러 ($143.99), 그리고 코인스탯에 따른 모네로의 가격은 142.92 달러 ($142.92), 그리고 순위는 9위였습니다.
***
미국에서의 '무비 패스 (MoviePass)'에 관한 소식입니다: 영화계의 '넷플릭스 (Netflix)'가 되고자 하는 야심찬 꿈을 실현시키려는 '새로운 영화 구독 플랜 (new movie subscription plan)'이 무비 패스라고 합니다. 한 달에 9.95 달러 ($9.95)만 지불하면, 하루에 영화 한 편씩 한 달 동안 볼 수 있습니다 ("For $9.95 a month, consumers can purchase a MoviePass and watch one movie per day in theatres for the entire month"). 무비패스의 최고 경영자는 로에 (M. Lowe)씨로서, 로에씨는 넷플릭스를 창립한 공동 창립자 가운데 한 사람입니다.
***
야후 금융 부문의 26일 트윗입니다: 밀레니얼 세대에게 가장 중요한 필수적인 '앱 (app)'을 물어보았더니, 다음과 같은 순위로 그래프가 나왔습니다. 가장 중요한, 필수적인 앱 1위는 아마존 앱이었구요, 2위는 지메일 (Gmail), 3위는 페이스북, 그리고 4위는 페이스북 메신저 (FB Messenger), 그 다음 순위는 유튜브 앱, 그리고 그 아래 순서대로 구글 맵 (Google Maps), 구글 검색, 애플 앱 스토어, 왓츠앱 (WhatsApp), 그리고 인스타그램입니다.
'IT & 비지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BCH 시세 (8월 25일 - 28일) (0) | 2017.08.29 |
---|---|
무비패스 (2), 그리고 카카오톡 소식 (0) | 2017.08.28 |
BPI 차트 (8월 22일 - 25일) (0) | 2017.08.26 |
BCH 시세 (8월 21일 - 24일) (0) | 2017.08.25 |
세그위트 (SegWit) 활성화 소식 (0) | 2017.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