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트윗

통화와 비트코인 (1) 본문

4차 산업 & 핀테크

통화와 비트코인 (1)

커피 트윗 2018. 6. 26. 10:10

경제학자이며 암호화폐 투자가이기도 한 데메스터 (T. Demeester)씨의 트윗입니다 (*** 트윗의 수가 너무 많고 긴 내용이라서 나머지 부분은 다음 게시글에 올립니다). 전문적인 내용이라, 이 게시글을 읽으시는 독자님들께, 제가 (완역이 아니라) 코멘트처럼 조금씩 하는 해석을, 참조만 하시기 부탁드립니다. 읽으시는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데메스터씨의 (한국 시간으로) 6월 22일 긴 트윗 타래입니다: 현재의 화폐가 기능하는 '통화/화폐 조정/개입 (monetary interventionism)' 시스템과 대조적으로, 비트코인이 사회에서 '분쟁 예방 (conflict prevention)'에 기여하며 사회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견해를 철학적인 접근으로 표명하고 있습니다. 모든 인간 관계의 분쟁은 네 가지 필요하고도 연결된 충분 원인들이 있는데, 그것은 "복수", 즉 많은 활동자가 필요하며, "자유로운 접근", 즉 이러한 활동자들이 원하는 것에 접근가능해야 하며, 또한 "결핍"인 성격을 띄며 (한정적인 공급), 그리고 활동자들은 "다양성", 즉 다른 가치와 의견을 지닙니다. 데메스터씨는 주장하기르, 만약 이러한 네 가지 원인 가운데 하나만 제거할 수 있어도, 효과적으로 인간 관계의 분쟁을 해소하고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계속되는 트윗입니다: 예를 들어, 방에 팬케이크가 하나밖에 없는데 (결핍 & 접근 가능), 저자와 다른 사람 (복수 & 다양성)이 원한다고 가정합시다. 만약 저자 (= 데메스터씨)가 자신이 그 팬케이크를 가져야 한다고 정당화하면 (다양성을 없앰으로써 ("removing diversity")), 이러한 분쟁은 사라집니다. 혹은, 또 다른 해결 방법은 팬케이크를 더 굽는 것 (결핍을 없앰 ("removing scarcity"))입니다. 보통 정치적인 분야에서의 분쟁 예방은, "복수와 다양성 (plurality & diversity)"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접근 (일치와 합의라는 해결책 ("solutions of unity & consensus"))하는 반면, 경제 분야는 결핍과 접근을 중점적으로 해결하는 (풍부와 사적인 소유 ("solutions of abundance and private property")) 방식을 추구한다고 합니다. 

                    

(계속되는 트윗 타래입니다): 화폐/통화 이전의 시대에서는, 사람들은 필요를 충족시키기가 매우 어려웠습니다. 물물 교환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서, 돈/화폐가 등장하면서, 사람들은 그들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분쟁을 막을 수 있게 됩니다. 화폐가,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거의 보편적인 열쇠가 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특성을 필요로 합니다: 내구성, 휴대성, 가분성 (나눌 수 있는 성질), 폭넓게 퍼진 바람직함 ("widespread desirability").            

                     

(계속되는 데메스터씨의 트윗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부는 (정부의 이익을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사회에서의 인간 관계의 분쟁에 접근하려는 목적으로 "화폐/통화 기관 (institution of money)"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렇게 정부가 관리하는 통화는 "복수 (plurality)"를 제한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하나의 기관 (FOMC)이 금리와 통화 공급을 궁극적으로 통제합니다. 중앙 은행이 누구도 뭐라고 할 수 없는 권위를 가지며 궁극적으로 책임을 집니다. 그리고 정부는 "자유로운 접근 (free access)"을 제한합니다: "법정 화폐의 단위는 각자가 특정 시점에서 소유할 (a unit of fiat money can only be owned by one person at a time)"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위조는 처벌됩니다. 정부의 화폐는 풍부합니다: 만약 부족해지면, 특정 그룹들에 의하여 새롭게 통화/화폐가 만들어집니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통화적 합의를 추구합니다: 시장과 규제에 의하여, 개개의 시민은 오직 하나의 화폐/통화 (각 나라의 통화)만 사용할 수 있도록, 그리고 그 나라/지역의 통화 정책을 인정하도록 하게 됩니다. 데메스터씨는, 이러한 정부의 통화/화폐 기술은 전반적으로 사회적 분쟁을 막도록 만들어졌지만, 그의 생각으로는 몇몇 시스템적인 단점이 있다고 합니다. 첫번째는 중앙 은행은 정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일치의 결여 ("lack of unity))고 합니다. 두번째, 몇몇 그룹은 새롭게 더 발행된 돈/화폐에 "자유로운 접근"이 가능합니다. 세번째, 통화의 풍부는 인구에 걸쳐 고르게 분배되는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신용 확대와 긴급 구제는 저축하는 사람들보다, 일반적으로 빚을 진 사람들을 선호합니다. 네번째, 이렇게 유발된 인플레이션은 통화/화폐의 장기적인 '바람직함 (desirabiltiy)'을 훼손시킵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합의 (social consensus)"는 신용 확대에서는 기능하지만, 그러나 "스테그플레이션 (stagflation)" 시기에서는 부적절합니다: 분쟁을 방지하는 메커니즘으로 신뢰할 수 없으며, 사회에 '순 편익 (net benefit)'을 제공한다고 하기 어렵습니다. 이제 비트코인으로 논의의 대상을 옮겨봅시다. 위에서도 나왔지만, 네 가지 필요 그리고 연결된 충분 조건들은 "복수 (plurality)", "자유로운 접근 (Free access)", "결핍 (Scarcity)", 그리고 "다양성 (Diversity)"입니다.               

                 

비트코인은 "복수와 다양성 (plurality and diversity)"을 위해선 100 퍼센트 허용됩니다: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네트워크는 감시에 저항적입니다. 그리고 확실히 결핍된 것입니다. 그럼에도, 한 가지 비트코인이 허용하지 않는 것은 "자유로운 접근 (free access)"입니다: 아무도 이천 백만 (21M)의 공급을 넘어 비트코인을 더 만들어낼 수 없으며, 그리고 미리 충분히 주의하면 기존에 존재하는 코인은 어디에서건 누구로부터건 접근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자유로운 접근을 제한하는 것은, 정치 위원회의 결정에 의존하지 않으며, 기술에 기반을 둔 내적인 성격이며 하드웨어에 내장된 것입니다. 재보 (N. Szabo)씨의 표현을 빌리자면, 비트코인은 사회적으로 확장가능하며, 분쟁을 예방하는 프로토콜 ("socially scalable, conflict preventing protocol")입니다.